반응형

타입 변환 2

인터페이스(Interface)

다형성 보장 4가지 전제 조건상속업캐스팅오버라이드동적 바인딩추상 클래스 : 실체로 구현하는 구현 클래스가 아님. 디자인을 위한 템플릿 클래스클래스 상속부모 생성자 호출 : super()protected, public 접근 제한의 의미final, static final (멤버, 클래스, 메서드)타입 변환(upcasting, downcasting)객체 타입 확인 작업 : instanceOf다형성을 제공하는 방법 : 멤버 타입, 메서드 호출인터페이스의 개념?추상 클래스와 마찬가지로 인터페이스는 그 자체의 객체를 만들 수 없음.추상 클래스는 추상 메서드와 일반 메서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인터페이스는 추상 메서드만 포함할 수 있음.두 객체를 연결하는 역할 & 다형성 구현에 주된 기술.인터페이스 사용 이유완전한 추..

Java Study 2024.07.02

자바 타입 변환

이전 글에서 다양한 종류의 타입들을 알아 보았고, 그 타입들의 메모리 크기나 저장되는 값의 허용 범위 등 세부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었습니다. 그리하여 이번 글에서는 그 타입들 간의 변환이 이루어 지는 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 자동 타입 변환?데이터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이다.값의 허용 범위가 작은 타입이 허용 범위가 큰 타입으로 대입될 때 발생된다.byte 정수 타입이 실수 타입으로 대입되면 무조건 자동 타입 변환이 된다.예외 : char 타입보다 허용 범위가 작은 byte타입은 char 타입으로 자동 변환될 수 없다.(데이터의 의미를 왜곡 혹은 손실하기 때문)강제 타입 변환?큰 허용 범위 타입을 작은 허용 범위 타입으로 쪼개어서 저장하는 것이다.캐스팅 연산자로 괄호()를 사용하며, 괄호 안..

Java Study 2024.06.16
반응형